추석 보름달 아래 팬케잇🥞
E03. 침선은 한땀한땀 |
|
|
추석을 의미있게 보내는 가장 쉬운 전통, 강강술래🌕
9월을 버티게 하는 가장 큰 힘💪, 바로 추석연휴인데요. 추석의 전통하면 새벽부터 일어나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고, 한복을 입어야 할 것 같죠. 하지만!! 누구나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전통이 있어요. 바로 강강술래! 곁에 있는 사람들과 맛있는 거 먹고, 달구경하고, 손잡고 빙빙 돌면 된답니다. 노래(한국인의 DNA에 내장된 그 노래)도 같이 부르면 좋구요. 누구나 할 수 있는 아주 간단한 놀이지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만큼 함께 하는 것의 가치를 인정받은 중요한 문화이기도 하답니다. 차례 지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같이 모여서 마음을 나누는 것이 가장 소중한 전통이죠! 가장 쉽고도 중요한 전통으로 이번 추석을 의미있게 보내보세요.😊 |
|
|
🧡
한복의 종합 엔터테인먼트 같은 존재, 바로 침선이죠.
국가무형문화재 침선장 이수자 김영숙 |
|
|
Q. 어떻게 침선을 배우게 되셨나요?
A: 천연염색을 배우며 점점 쌓이는 옷감을 활용할 방법을 찾다가 바느질을 배우기 시작했고,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에서 구혜자 선생님께 침선을 배우면서 지금까지 침선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시야를 넓히기 위해 매듭과 자수 등도 조금씩 다양하게 배우면서, 침선은 종합 엔터테인먼트 같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옷을 더 아름답게 하기 위해서는 자수, 금박, 보석 등 다양한 분야를 필요로 하고, 그런 자수와 금박을 하기 위해서는 밑바탕이 될 옷이 있어야 하니까요.
Q. 요즘은 어떤 작업을 하고 계신가요?
A: 한복은 평면으로 구성된 옷이라는 점이 특징인데, 한복의 기본적인 구조와 형태를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을 작업하고 있습니다. 여러 부분을 이어 붙이는 과정을 최소화해서 누구나 한복의 구조를 이해하고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Q. 침선의 난이도는?
A: 🌟🌟🌟🌟🌟 옷감을 구하기 위해 전국을 다녀야 할 수도 있고, 직접 염색할 일도 있음 |
|
|
'진짜' 침선을 만나볼 시간!
요즘은 기발한 추석선물이 많아졌다마! 하지만 가장 감동을 주는 방법은 직접 만든 선물 아닐까마? 9월 케잇데이 ‘침선은 한땀한땀’에서 미니 저고리 포장 보자기를 만들어보는 건 어때마? 1인 테이블매트나 용돈 봉투로도 활용이 가능해서 아주 쏠쏠한 아이템이라마😎
|
|
|
2년에 한 번 돌아오는 공예비엔날레, 지금 안 보면 2025년에😎
나들이 계획 세우고 있다면 청주에서 열리는 공예비엔날레는 어때요? 세계 각국의 작가들이 금속, 섬유, 도자, 옻칠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한 작품들이 전시된 이번 비엔날레에서는 전통자수병풍 등 전통공예 작품도 여럿 만날 수 있어요.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전시(링크)도 즐기고(인생네컷 맛집👍), 바로 옆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이건희 회장 기증 피카소의 도예전(링크)까지 무료로 관람하면 어느새 하루가 사라지는 마법이…🤗 공예비엔날레 현장이 궁금하다면 눌러보기👉(릴스) |
|
|
1. 금손맛집
-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9.1~10.15) (링크) #청주 #세상을_잇고_만들고_사랑하라
- 전승의 향연 창조의 기록(9.1~10.1)(링크) #전주 #무형유산_축전 #인간문화재
- 인사동 엔틱&아트페어 (8.31~9.18)(링크) #서울 #한복 #고미술품
2. 퍼포먼스 맛집
- 대백제전(9.23~10.9)(링크) #공주 #부여 #대백제_세계와_통하다
- 산전수전 토별가(9.15~9.16)(링크) #서울 #판소리 #별주부전
- 부평풍물대축제(9.22~9.24)(링크) #인천 #농악 #인류무형문화유산
3. 야경 맛집
- 익산 미륵사지 세계유산 미디어아트 페스타(9.9~10.9)(링크) #익산 #미디어아트 #드론쇼
- 보은 문화재 야행(09.15~09.17)(링크) #보은 #도깨비_마을
- 성북동 문화재 야행(09.22~09.23)(링크) #서울 #문학과_예술 |
|
|
연인 스틸컷 (출처: ‘연인’ 공식 홈페이지) |
|
|
조선시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 ‘연인’의 절절한 사랑이 화제입니다.
특히, 드라마의 여주인공 길채가 쓰는 따땃한 볼끼가 시선을 사로잡는데요.(탐남) 그런데 말입니다. 볼끼의 바른 착용법을 아십니까? 볼끼는 뺨과 턱을 감싸는 방한용구인데요. 그 말인즉슨, 턱에 달린 끈이 머리 위로 가야 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비주얼의 문제 때문인지 귀도리처럼 쓰는 사람들이 많은 현실🤣 그런데 왜 볼끼 이야기냐면요. 이번 달 주제가 한땀한땀 한복을 만드는 침선이기 때문이죠. 잘 만드는 것도 좋지만, 잘 입는 것도 중요하니까요! |
|
|
8월 케잇데이는 ‘단청’을 주제로 진행했다! 다들 단청 티코스터도 예쁘고 깔끔하게 완성하셨다묘! 체험을 하면서 앞으로 단청을 배워보고 싶다는 분도 계셔서 정말 뿌듯했다묘(@^0^)
출처: @bbomi.beauty, @haendael__, @_mandol_hobby_ |
|
|
오늘의 팬케잇은 여기까지
구독자님, 연휴까지 얼마 남지 않았어요.
연휴를 위해 남은 9월도 화이팅!
오늘의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좋았어요! 🤗ㅣ 음, 잘 모르겠어요 🥺
|
|
|
|